[2022. 봄 도전트렉 09] 울릉도

O 일시 : 2022. 4. 30.(토) 08:50~17:50
O 날씨 : 어제 내린 비가 그치고 맑으나 육지에 비해 선선한 기온.
O 코스 : 안평전~성인봉~나리분지~알봉~깃대봉~울릉천국
O 거리 : 약 15.8km

오늘 일정은, 울릉도 남북 종주.
도동항에서 장재 넘어 나리분지, 그리고 깃대봉 거쳐 울릉천국으로.

저동항에서 작은모시개마을(저동2리)로 들어섰다.
나리분지로 가는 길 입구다.
마침 70대 아저씨가 집 밖으로 나오시길래 눈이 마주쳤다.
“여기가 장재 가는 길인가요?”

이렇게 시작된 이야기 끝에 결국 길을 바꿨다.
아저씨 이야기는, ‘장재 가는 길이 풀섶에 가려 안 보이는데다 작년에 비 피해로 파이고 끊기고 해서 위험하니까 절대 가지 마라.’는 게다.
‘나리분지 5.7km 표지판 없애달라고 군청에 이야기해도 말을 안 듣는다’고 덧붙인다.
결국 발길을 돌렸다.

택시 기사하고 이야기 나눈 끝에, 안평전 코스로 정했다.
흔히 가는 중계소 길은 몇 년 전 오른 적 있어서다.
안평전에서 성인봉 가는 길이 낙석 위험 때문에 2015년 폐쇄되었다가 2~3주 전쯤에 새로 열렸다고 한다.

안평전은 고지대 작은 마을이다.
성인봉까지 2.7km.

012345678

등산로는 잘 꾸며져 있다. 군데군데 데크계단, 매트 길도 있다.

관모봉 능선까지는 경사가 급하다.
나무 밑은 온통 연두색 풀이 가득하다.
아는 사람한텐 나물일 수 있겠지만. 모르니 다 풀이다.
중간에 대원사, 중계소 길과 만난다.

01234567891011121314

성인봉.
정상석 앞과 뒤에 쓰인 높이가 다르다.
984m, 986m.
정상에서 경치는 약간 가려져 있다.

그 너머 10m 정도 가면 전망대가 있는데 여기가 좋다.
나리분지는 물론 깃대봉, 송곳봉도 뚜렷하고, 북쪽 바다가 다 보인다.

0123

성인봉에서 천두산 거쳐 장재로 갈까 생각했는데 길을 막아놓았다. 비법정탐방로인 모양이다.
안평전 표지판엔 여기 길이 표시되어 있었는데...

나리분지로 향했다.
성인정약수터에서 물 한 잔. 응달엔 아직 잔눈이 남아 있다.
여기는 원시림이다. 신령스러움마저 느껴지는 숲이다.
신령수에서도 한 잔.

012345678910111213


나리분지 투막집을 거쳐 나리마을로 향했다.

01234567891011

여기 길은 참 산책길로 그만이다. 소나무도 많고, 길도 널찍하다.
나리마을을 들러 점심으로 산채비빔밥.

0123456

야영장 거쳐 알봉으로 올랐다.
데크 길 따라 올랐는데 길이 더 이어지지 않았다. 다시 내려와야 했다.
사람 발자국 흔적이 옆으로 보이길래 그리로 갔다. 어느 샌가 길이 안 보인다.
지도 앱 보면서 알봉을 올랐다. 나무가 우거져 있다. 보이는 것도 없다. 여기가 정상 맞나 싶다.

012345678

알봉에서 나리마을쪽 내려가는 길은 흔적이 보였다.
가고자 하는 깃대봉쪽과는 방향이 거꾸로다.
갈 만한 길이냐, 가까운 쪽이냐 중에서 결론은 가까운 쪽.
깃대봉 쪽 향해서 풀밭을 가로질러 갔다. 아이구~ 힘들었다.
끝내 투막집과 깃대봉 입구 중간쯤으로 나올 수 있었다.
깃대봉 입구 가는 길. 너른 밭에 솟대도 세워놓았다.

012345678910111213

깃대봉 오르는 길. 낙석구간도 있다.

012345678910

 

깃대봉(608.3m).
정말 경치가 장관이다.
송곳봉과 바다를 내려다보면 높이감이 느껴진다.
왼쪽으론 대풍감 벼랑, 뒤쪽으론 성인봉과 나리분지.
서 있으면 그대로 맞게 되는 바람이 오늘은 세다.

012345678910111213

깃대봉은 송곳산이라고도 하는 것 같다.
여기서 석봉(350m)으로 내려가는 길은 급경사다.
여기도 원시림이다.
석봉에 오르니 송곳봉(452.5m) 옆이 보인다.
코끼리 코처럼 바위에 구멍이 뚫려 있기도 하다.

012345678910111213

석봉에서 울릉천국까지도 급경사에다 숲이 좋다.

0123

울릉천국. 가수 이장희.
안에도 들러 볼 만하다.

012345678910111213

아래 현포마을로 내려와서 시내버스 타고 저동으로 나왔다.

01234567

울릉도는 버스가 잘 되어 있다.
일주 도로가 2019년 개통되어서 어디든 버스를 타고 이동 가능하다.
시계방향과 반대방향 양쪽으로 운행하고 있는데..
시간표만 잘 익혀두면 아주 편할 것 같다.

*이 밖에, 다음 날 석포리 옛길을 걸었다.

여기도 꼭 가볼 만하다.
이십여 년 전까지 예 살던 사람이 총 300여 명 조난자를 도왔다는 미담도 있다. 
무엇보다 숲이 좋다.
‘섬단풍, 우산고로쇠는 육지에서 보기 힘든 단풍나무’ ..라는 건, 심심치 않게 보이는 안내판을 보고 알았다.

‘가을 단풍 땐 더 좋다’던 동네사람 이야기는, 바로 이 이유일게다.

석포리 옛길의 한 쪽 시작은 내수전 일출전망대. 여기에서 보이는 전망도 아주 좋다. 

저동항이 내려다 보인다. 문섬, 관음도까지 다 보인다.

여기서 석포리 입구까지 3.4km.

구불구불, 내리락오르락. 숲은 빽빽~하다. 한낮에도 그늘.

01234567

석포리 입구에서 1km, 시멘트 길. 석포마을(안용복기념관). 버스 종점이다.

망원경도 있다. 죽도 관음도가 환~하다.

0123456789101112

울릉도 가시거들랑,

버스 타고 석포마을 올라가서 내수전전망대쪽으로 향하는 길이 좋겠다. 

거꾸로도 좋지만, 버스 시간 맞추어야 한다. 

아무튼 울릉돈 시간 잘 맞추면 버스 여행 짬지게 할 수 있겠다.

(이 지도는 00여행사 홈페이지에서)

'도전Trek 김만균님 > 202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성 연화산  (0) 2022.05.20
유명산~중미산  (0) 2022.05.20
비슬산 가는 길, 참꽃  (0) 2022.04.29
푸르른 섬, 청산도(완도)  (0) 2022.04.18
관악산(사당역~연주대~삼성산~호암산)  (0) 2022.04.10

[2022. 봄 도전트렉 08] 비슬산

 

O 일시 : 2022. 4. 23.(토) 10:00~17:00

O 날씨 : 맑고 땀날 정도로 더움.

O 코스 : 유가사~대견봉~대견사~조화봉~천왕봉~도성암~수도암~유가사

O 거리 : 약 13km

 

비슬산.

진달래, 참꽃 하면 몇 손가락 안에 드는 산.

 

워낙 이름난 산이지만, 오늘 처음이다.

유가사엔 한 번 온 적 있다.

 

조금 늦게 도착하였는지,

유가사 가는 길은 출근길 도심 같이 밀린다.

겨우 주차하고, 유가사로 올랐다.

 

유가사 위로 천왕봉 암릉이 가파르게 올려다보인다.

높이도 모양도 예사롭지 않아 보인다.

절집도 크다.

유가사 근처는 물론 등산로 여기저기에는 안내판들이 많다. 

이런저런 역사 문화 스토리가 많이 얽혀 있음을 알게 된다.

유가사에서 천왕봉쪽 주등산로를 1km 오르면 나오는 갈림길.

여기서 대견봉쪽으로 올랐다.

경사가 가파라지면서 땀을 좀 흘렸다.

중간에 전망대가 나오면서 드디어 조망이 터진다.

아래 내려다보이는 숲 빛깔이 다 연두다.

대견봉 아래 어느 지점에선가,

드디어 참꽃이 눈앞에 쫘악 펼쳐진다.

천m 고지대, 정상 근처에 펼쳐진 꽃밭이라니.

장관이다. 영화 속 장면 같다.

넓이가 30만 평 정도 된다 한다.

꽃을 들여다보니, 잎이 많이 틔어 있다. 

아마도 한 주 전이 절정이었을 것 같다.

지금도 좋다. 온통 분홍 물감을 풀어놓은 듯하다.

 

대견봉(1035m).

저 넘어 조화봉, 저 아래 비슬산휴양림이 보인다.

바로 아래 대견사.

가는 길엔 인산인해다.

대견사(1000m). 

사람 많다. 여기까지 셔틀 버스가 오르내린다.

버스 탑승 안내 방송 소리가 확성기를 타고 들린다. 

벼랑 끝에 있는 석탑. 경치 좋다.

대견사 옆 한 곳에서 점심을 먹고, 조화봉을 들렀다.

강우레이더관측소 옆이다.

오가는 길엔, 데크길 공사가 한창이었다. 톱바위 안내판도 보인다. 

01234567891011

다시 내려와 꽃밭 한가운데로 들어섰다.

꽃 반 사람 반이다.

012345678910

다시 능선을 타고, 천왕봉까지 가는 길.

사람 많다. 길은 좁다.

오며가며 먼지 날리고, 날은 더워 땀 나고.

 

천왕봉 가면서 뒤돌아본 참꽃밭.

천왕봉 아래 계곡 연두 잎들.

천왕봉.

대구를 가운데 두고 북 팔공, 남 비슬이라 한단다.

천미터 산에서 보이는 시야가 넓게 사방으로 틔어 있다.

01234567

대구 앞산까지 16km라고 써 있다.

여기서 도성암쪽으로 내려갔다.

급경사다. 미끄럽다. 돌길 많다.

도통바위와 도성암을 들렀다.

오래된 이야기가 얽혀 있는 암자다.

01234

다시 수도암으로 내려가는 길.

유가사까지 내려와보니, 아까는 지나쳤던 시비가 보인다.

오래 전 들어 알고 있던 노래의 노랫말이기도 했다.

도신 스님의 노래 '비슬산 가는 길' https://youtu.be/zaSFmEBSV4c

천 미터 넘는 산 치고 안 힘든 산 없다더니 비슬산도 그렇다.

오르내리는 길은 제법 가파르다.

3km 거리로 700m 높이를 오르내리다 보니 그렇다. 

정상 능선 길은 완만하고 편하다.

아무튼 천 미터 고지에 이렇게 드넓은 참꽃밭을 펼쳐 놓은 비슬산.

이 산만이 가진 매력이다.

 

 

'도전Trek 김만균님 > 202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명산~중미산  (0) 2022.05.20
울릉도의 봄  (0) 2022.05.10
푸르른 섬, 청산도(완도)  (0) 2022.04.18
관악산(사당역~연주대~삼성산~호암산)  (0) 2022.04.10
강진 주작산, 덕룡산  (0) 2022.04.05

[2022. 봄 도전트렉 07] 청산도

 

O 일시 : 2022. 4. 16.(토) 08:10~14:10 (6시간)

O 날씨 : 맑고 따뜻함.

O 코스 : 청산도항~대선산~고성산~보적산~범바위~낭길~서편제촬영지~청산도항

O 거리 : 약 18km

O 교통 : 기차, 버스, 배

 

4월 봄, 청산도.

워낙 이름난 섬이어서인지

출발 3일 전부터 시작한 배표 예매가 일찍 마감되어 버렸다.

완도 여객터미널 안에 사람들이 북적북적하다.

다행히 현장 발권 가능. 7:00 배로 출발.

50분 걸려 도착하자마자

나가는 배 표부터 구입했다. 15:00 출발.

청산중학교쪽 가는 길.

동네 담장 그림도 봄 같다.

'나비야 청산 가자 범나비 너도 가자'

초등학교 지나 중학교 쪽으로.

중학교 못 미처 이정표 보고 선음약수터 쪽으로 향하다.

시멘트 길 따라 몇 백m 오르면 대선산 이정표.

오른쪽 숲으로 들어간다.

나무가 하늘을 덮었다. 울창하다.

난대활엽수. 나무 이름은 뭔지 모르겠다.

동백꽃도 보인다.

길은 가파라진다.

 

600m 올라가면 대선산 정상(343m).

나무에 가려 전망은 별로다.

리본이 눈에 띈다. ‘나는 살려고 걷는다’.

200m 가면 갈림길.

 

내려가는 길도 숲 터널이다.

조금 더 내려가면 전망대 바위가 나온다.

저 앞에 오늘 갈 고성산, 보적산이 보인다.

보적산 왼쪽으로는 청산도 최고봉인 매봉산(385m).

전망대 왼쪽 아래는 부흥리 마을.

 

노오란 유채꽃밭도 군데군데 보인다.

오른쪽으로는 서편제촬영지와 그 아래 바다, 마을이 내려다보인다.

 

고성산 가는 길엔 연산홍, 진달래 천지.

정상(310m)엔 돌무데기가 보인다.

봉수대 흔적인 모양이다.

읍리큰재 가는 길.

청산도 동서를 잇는 도로가 남북을 가르고 있다.

여기서 보적산까지 1.9km.

여전히 숲은 푸르다.

조밀한 편백숲도 일부 구간 이어진다.

꽃도 많다. 

보적산 가까이 갈수록 길은 볕에 드러나고 비탈은 심해진다.

보적산 전망대에서 뒤돌아본 지나온 길. 서쪽 도청항~대선산~고성산.

동쪽 마을과 매봉산. 

잎새를 틔울 준비를 마친 잎파리가 보인다.

보적산(330m).

사방으로 전망이 좋다.

날이 좋으면 제주도가 보인다던데, 오늘은 아니다.

저 아래 범바위(가운데). 왼쪽 위는 작은 범바위, 오른쪽 아래는 말탄 바위.

012345

범바위로 내려가는 길.

연산홍과 진달래가 여기저기 피어 있다.

주차장을 지나, 왼쪽으로 오르면 작은 범바위.

오른쪽 길은 범바위로 바로 간다.

작은바위에 오르면,

범바위와 전망대가 내려다보인다.

전망대 느림우체통.

엽서를 1년 뒤에 보내준단다.

0123

범바위를 돌아 내려가면 말탄바위가 이어진다.

뒤돌아본 범바위.

말탄바위.

그리고 권덕리로 내려가는 길.

벼랑길과 바다가 시원하게 펼쳐져 있다.

권덕리로 내려와 4코스 낭길로 접어든다.

0123

읍리앞개까지 1.69km.

01234

마늘밭, 청보리밭, 유채꽃밭이 보인다.

01234567

아스팔트 길을 따라 가면 나오는 당리.

서편제 세트장인 초가집이 있는 마을이다.

돌담길이 정겹다.

01234567

마을 골목길을 걸어 나가 오르면 서편제 촬영장.

유채꽃밭이 노오랗다.

0123456

군수 공적 흉상과 ‘군수님 약력’을 새긴 기념석이 보인다.

하~ 좀 그렇다. 세상 어느 땐데. 그것도 서편제 촬영장 한가운데.

01234

도청항까진 1km 조금 넘는다.

마을로 내려서면 골목길, 찻길 따라 도청항으로 이어진다.

012345

예정대로 3시 배를 타고 완도로 돌아왔다.

청산도엔 7~8개의 산봉우리가 있다 한다.

알파벳 C자 모양으로 되어 있고, 오늘은 그 중간 구간을 걸은 셈이다.

도청항에서 보적산까지 산길 6km, 다시 도청항까지 슬로길 12km, 총 18km 거리.

5~6시간이면 걸을 수 있다.

 

슬로길은 총 11개 코스로, 40여 km가 된다 한다.

오늘은 5, 4, 3, 1코스를 가본 셈이다.

 

좀더 시간을 내서 8개 산봉우리를 걷거나,

벼랑길을 좀더 추가해서 동선을 짜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참고]

청산도

http://www.cheongsando.net/

 

노란 유채꽃으로 물든 섬, 회복의 시작을 알리다(무등일보, 2022.04.14.)

http://www.mdilbo.com/detail/S7VQ71/667292

'도전Trek 김만균님 > 202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릉도의 봄  (0) 2022.05.10
비슬산 가는 길, 참꽃  (0) 2022.04.29
관악산(사당역~연주대~삼성산~호암산)  (0) 2022.04.10
강진 주작산, 덕룡산  (0) 2022.04.05
완주 장군봉(기차산)  (0) 2022.03.27

[2022. 봄 도전트렉 06] 관악산(~삼성산~호암산)

O 일시 : 2022. 4. 9.(토) 07:40~16:40
O 날씨 : 맑고 따뜻함. 
O 코스 : 사당역~연주대~팔봉능선~무너미재~삼성산~호암산~호압사
O 거리 : 약 13km
O 교통 : 승용차

관악산.

오랜 만이다. 스물두 해 너머만이다.

서울서 살다가 2000년 충북으로 내려오고 나서 처음이니 그렇게 된다.

마지막 살던 동네가 남현동. 사당역 근처다.

 

그러고 보면, 여덟 살 때 전학 와서 스물여덟 해 동안,

거의 이 산 가까이 살았던 셈이다.

가까운 만큼 가장 자주 갔던 산이다. 

 

사당역 거쳐 관음사 오르는 길에 다행히 주차할 수 있었다.

빗방울이 굵게 떨어졌지만 곧 그쳤다. 관음사에서 국기봉으로 올랐다.길은 여러 갈래고 갈림길은 많다. 하지만 다 이어진다. 비탈진 바윗길로 올랐다.

국기봉에서 본 서울 시내 전경. 시원하다.

관악산 국기봉은 여러 개다.

태극기 걸린 깃대가 많은데, 거의 다 이름이 깃대봉, 국기봉이다.

(왼쪽) 관음사 국기봉 오르는 계단, (오른쪽) 멀리 연주대가 보인다.

 

산엔 온통 진달래다.

연주대 가는 길은 아기자기하고, 험한 구간은 없다. 

흙길과 바윗길, 계단이 이어진다.

연주대 가까이 갈수록 급경사 구간이 나온다.

하지만 거의 다 계단이다. 

그 전에 왔을 때 붙잡았던 쇠줄이 그대로 남아 있다.

연주대에 들렀다. 바람이 세다.

관악산 정상석 앞엔 사람 줄이 길다. 

연주암 내려가는 길에 본 연주대, 벼랑 위 모습이 비경이다. 

효령대군 영정각 거쳐 계단길 올라 가면 나오는 능선.

여기서 학바위 능선쪽으로 가야 했는데 잘못 들었다.

불성사, 종합청사역 가는 길로 가버렸다.

다행히 중간 갈림길에서 팔봉능선으로 내려가면 되었다. 

팔봉능선, 이름부터가 심상찮다. 실제로도 그랬다. 암릉 릿지 구간이 많았다. 위험해도 경치는 아주 좋다.

저 앞 송신탑이 삼성산 정상이다. 

012345678910

계곡으로 내려와서 무너미고개 거쳐 삼성산으로 올랐다.

0123456789

삼성산 정상석은 못 보고 지나쳤다. 

국기봉(깃대봉)까진 길 괜찮다. 국기봉 오르는 건 위험하다.

0123456

장군봉 가는 길도 편하다.

동네 뒷산 약수터 가는 길 같다.

장군봉 표지석이 없어서 지나쳤다.

호암산도 마찬가지다.

여기도 진달래가 지천이다.

시간이 좀 늦어져서 호압사로 틀었다.

가깝지만 경사가 급하다.

왼쪽 산 능선을 타면 석수역 쪽으로 내려갈 수 있다. 

호압사 내려가는 길.

호압사로 내려온 건, 호압사가 좋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 있어서였기 때문이다.

팔봉능선으로 오느라 시간이 좀 지체되어서 그랬다. 

호압사에서 택시를 타고 출발지로 갔다. 

기사님 왈, "석수역쪽 진달래가 아주 좋다."고 한다. 

 

오늘 관악산은 긴 시간 동안 천천히 걸었다.

흔히 호삼관(호암산, 삼성산, 관악산)이라 불리는 세 봉우리를 다 가봤다.  

 

관악산은 가벼이 볼 산이 아니다. 

13km 정도의 거리였으나, 오르내리는 능선길이 제법 있다. 

바윗길이 많아 아주 조심해야 한다. 

오늘 하루도 관악산에서 아주 잘 놀았다. 

(정확한 거리는, 산길샘 기록에서 택시 탄 900m를 빼야 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