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8월 27일 토요일 남파랑길 21 코스가 포함된 거제 망산 둘레길에 다녀왔다. 와현 모래숲 해수욕장에서 출발하여 와현 고개~~ 초소~ 와현 봉수대 ~ 서이말등대서이말 등대~ 서이말삼거리 ~ 돌고래전망대 ~ 공곶이~ 해변쉼터 ~예구마을 ~ 와현 모래숲 해수욕장으로 원점 회귀하는 코스로 진행했다. 거리는 농어촌뉴딜사업으로 통제하는 구간이 있어 실제보다 약간 짧은 14.5km14.5km 정도 걸었다.
8월의 마지막 토요일 8시 좀 넘어 도착한 해수욕장은 공식적으로는 폐장을 했지만 파라솔 등 물품은 그대로였다. 이른 시간이라 아직 모래사장은 조용했다.






국제신문에서 제공한 GPS파일을 켜고 따라가며 트렉을 진행했다. 와현고개엔 버스 정류장이 있어서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다녀갈 수 있을 것 같다. 오른족 초소 방향으로 조금 걸으면 약수터가 있다. 기원전부터 이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와현고개에서 도로를 따라 안쪽으로 들어온 곳에 위치해 있어서 자차를 이용한 이들이 이곳 도로변에 주차하고 서이말 등대(남파랑길(남파랑길 21)까지 걷는 이들이 계속 있었다.















초소에서 도로 오른편으로 접어들면 포장된 길이 서이말 등대까지 이어진다. 왼편으로는 철조망이 쳐져 있고 접근하지 말라는 경고문이 여러 군데 붙어 있다. 간혹 서행하는 차량이 교차하기도 하지만 숲터널은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와현봉수대삼거리에서 등산로를 이용하여 봉수대에 올랐다. 사면의 바다가 보인다.

















서이말등대는 통제되어 있었다. 등대에 서면 대마도까지 볼 수 있어서 군사적으로 중요한 곳이기도 한 듯했다.. 등대 입구에 국방연구소가 있어서 더욱 그런 느낌이 들기도 했다.















왔던 길을 다시 돌아와 서이말 등대 삼거리에서 왼편 일운면 해안 거님길로 접어들었다. 서이말등대까지 포장도로를 걷다 흙길로 접어드니 발이 편안했다. 숲터널 또한 울창하고 싱그러웠다.






1.3km 이상 걷다 왼편에 로프를 쳐 내려가는 길을 표시해 놓은 곳을 따라 내려갔다. 이정표는 없지만 리본이 붙어 있어 주의하면 발견할 수 있다. 이곳은 돌로 쌓은 담(성?)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는 원시적 자연으로 들어가는 문이었다. 포장도로도, 임도도 아닌 이 돌길에 국제신문 리본이 오로지 두 개 남아 있다. 이 로프길을 놓치고 편안한 임도길로 직진했더라면 많이 후회했을 것 같은 원시적 멋이 살아 있다. 이렇게 돌고래전망대까지 감탄하며 걸었다. 전망대 아래 낚시 포인트에서는 자리돔이 많이 잡힌다고 한다. 돌고래는 없는 돌고래전망대라고. 낚싯대를 들고 가는 마을 주민이 덧붙인다.
























전망대에서 공곶이 가는 길은 더 멋졌다. 수선화가 피는 정원이라는 안내가 있었다. 계절이 여름인지라 이국적인 푸르름까지 넘쳤다. 공곶이에서 마주 보는 섬엔 노란색 집들이 풍경화 같았다.

































공곶이 해변길을 걸어서 쉼터가 있는 곳까지 갔다. 쉼터 이후 숲길은 뉴딜사업으로 통제 중이었다. 예구마을길로 우회하기 위해 왔던 길을 되짚어 오르다 삼거리에서 왼편으로 진행하니 국립공원 입구 출입 체크기가 설치된 곳에 도착했다.














포장된 예구마을길을 걸어 선착장에 도착하고 다시 지방도로를 따라 3~4km 정도 걸어 다시 해수욕장에 도착했다. 아침과 다르게 더운 한낮 텐트를 치고 해수욕을 즐기는 가족들이 여럿 있었다. 해수욕을 즐기는 일은 저만치 거리를 두고 바라보는 일이 되어버린 그를 발견한 날이었다. 남은 걸음이 바다로 흘러들 수 있기를 기원하며 트렉을 마쳤다.














2021.9.4. 상사화가 한창인 영광 불갑산에서 도전트렉을 시작하여, 사면 바다로 둘러 쌓인 원시림을 간직한 거제 망산 둘레길을 걸으며 1주년을 마무리했다.
'지나간 기록 > 도전Trek 위양자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리왕산 1코스로 오르려다 얼떨결에 벽파령(888m)에 다녀옴 (0) | 2022.08.26 |
---|---|
신발을 두 번 벗은 설악산 내외종주 (0) | 2022.08.19 |
남명 조식의 흔적이 남아 있는 백운산과 덕천서원 (0) | 2022.08.19 |
바위에도 길이 난 남월악산 (0) | 2022.08.02 |
운무와 함께 걸은 지리산(명선봉) (0) | 2022.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