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730일 마지막 토요일, 괴산군 연풍면 고사리 주차장~ 연풍레포츠공원 ~ 연어봉 ~ 할미봉 ~ 신선봉 ~ 마패봉 ~ 부봉(1~6) ~ 문경새재3관문 ~~고사리 주차장 회귀하는 남월악산 코스를 걸었다.

고사리주차장에서 900m900m 정도 도로를 따라 걸어 내려오면 연풍 레포츠공원이다.. 아침 이른 시간이라 텐트를 치고 야영을 한 이들이 여럿 보인다. 오늘 걸어야 할 산을 올려다보니 나무 빛깔 아닌 하얀색이 많다.

 

공원 입구에서 신선봉 이정목을 보고 방향을 잡아 걷기 시작했다. 농가길을 따라 걷다 보면 작은 갈림길에서 이정표를 따라 왼편으로 접어들고 다시 작은 갈림길, 어느 쪽으로 가도 연어봉에 갈 수 있지만 왼편 숲길로 들어섰다.

 

숲길 오르막을 시작하며 다짐을 했다. ‘오늘은 수리를 놓치지 않게 더 집중해야 해.’ ‘숨을 따라 수리와 발걸음을 꼭 일치하며 걸어보자.’ 오늘은 당황스럽게도 충전 불은 잘 표시되었는데, 데이터를 선택하면 불이 들어오지 않는 매스밴드를 그래도착용하고, 혹시나 하는 마음에 월 데이터 매스밴드도 착용하고 걷기를 시작했다. ‘오늘 진짜 도전이다. 한계를 확인하는 날!’ 오후에 낙뇌를 치는 소나기가 내릴 가능성이 예보된 날이라 서둘러 시작하긴 했지만 숨 가쁘게 속도를 낼 수는 없는 날이라는 걸 떠올리며 시작했다.

연어봉 초입은 순하게 걸을 수 있었다.

 

출발 전 보았을 때 하얗게 보이던 물체들이 오래 걷지 않아 나타나기 시작했다. 산을 물어버리려고 입을 벌린 바위가 반겨주었다. 연어봉에 사는 멋진 소나무도 반가웠다.

할미봉에는 방아다리바위가 자리를 잡고 있었다.

 

신선봉에 이르도록 바위를 오르기도, 타고 넘기도 하다 보니 사람들 마음은 비슷해서 그래도 안전한 곳을 찾아다녀서인지 바위에도 길이 나 있었다. 바위는 미끄럽지 않아 잡히고 걸리는 곳이 있으면 중심을 이동할 수 있었다. 걸을 수 있는 바위도 있지만 내가 중심을 이동해 오르거나 내려서야 하는 바윗길도 여러 군데 있었다. 두려움이 찾아오기 전에 잡을 곳과 발디딜 틈을 찾아 몸을 움직였다. 오르고 걷다 불어오는 시원한 바람이 위로가 되었다. 산 전체가 바위처럼 보이지만 그래도 이미 흙이 된 길이 더 많았다.

먼저 다녀 간 이들이 걸어 놓은 리본을 따라 돌길, 바윗길을 넘어 도착한 마패봉, 신선봉에서 만나 사진을 찍어 준 이를 다시 만났다. 또 기념 사진을 찍어 주고 잠깐 숨만 돌리고 부봉 삼거리를 향해 출발했다.

바위에 길이 남

이제 잠시 돌과 바윗길에서 벗어나 백두대간 능선길을 걸었다. 오르고 내리며 쉽지 않은 길이지만 흙길이라 좋았다 발이 편하니 주변 버섯들이 눈에 들어왔다. 그물모양 버섯이 있다는 것이 놀라웠다. 생각을 바꿔보았다. 그물 모양 자연물이 있어 그물이 만들어졌겠구나..

부봉 삼거리에서 부봉을 향해 계단을 올랐다. 어느 방향은 멀리까지 보이는데, 물기가 조금씩 느껴지기 시작했다. 점심 요기를 하고 더운 발을 시원하게.

 

정상석 뒤쪽에 달린 리본을 따라 걷다 보니2봉 표지석과 안내판이 나왔다. 6봉까지 거리는 1km가 채 안 된다. 3봉 앞에서 잠시, 숨을 돌리고 바윗길을 찾았다. 줄도 있다. 줄을 잡고 오르는 데 무엇이 뒤에서 밀어 올리나 보다. 나도 모르게 앞으로 뛰고 있었다.

 

3봉

리본을 따라 걷다 보니 4봉인 듯한 바위가 보여 잠시 올랐다, 사진 한 장 찍고 다시 걷다 보니 6봉 계단 앞이다. 뒤돌아보니 우회하지 않고 5봉을 지나 내려오는 밧줄이 내려져 있었다.

4봉과 5봉 우회로 그리고 5봉로프길
5봉 위 소나무 

여기서 6봉을 넘지 않고 문경새재로 갈 수 있는 길이 나 있다. 6봉 계단 간격이 아주 높았다. 한 칸씩 천천히 걸어 오르다 보니 끝내 정상석이 눈앞에 나타났다. 마지막 바위산이기를 바라며 반갑게 기념했다.

마지막 6봉

커다란 바위길 하나를 더 지나 긴 내림길. 굽이굽이 걷다 계곡 물소리에 닿았다. 땀에 절은 수건을 물에 휘휘 저어 땀을 흘려보내고 시원하게 땀을 닦았다. 계곡을 건너 걸으며 쭉쭉 뻗은 나무 사이로 하늘이 맑아졌다.

 

사람들 소리가 들리고 중장비 한 대가 올라가고 있는 동화원 방향 길에 도착했다. 흙이 다져진 길은 절로 걸어졌다. 중장비를 따라잡고 과거 길로 접어들어 낙동강 발원지와 책바위를 지나 33 관문에 도착했다.

 

낙동강 발원지와 책바위

잠시 쉬었다. 조령관문을 지나 흙이 다져진 길을 걸으며 오래전 트렉에서 함께 왔을 때 이 33 관문을 통과하던 와 이별했다. 오늘 도전을 완성하기 위해 고사리마을 주차장까지 낯선 괴산의 풍경과 사람들을 보며 걸었다. 주차장에 도착하고 보니 신선봉이 계속 거기 있었다.

*트렉일시: 2022.7.2. 09:30~20:30
*트렉코스: 남월악산(고사리주차장-연풍레포츠공원-연어봉-신선봉-마패봉(마역봉)-부봉1봉-문경새재3관문-고사리주차장, 약 17km)
*길이 및 난이도: 약 17km, 난이도 중
*날씨: 약간 흐림. 기온 28-30도.

월악산은 우리나라 5대 악산(嶽山)중 하나인데 연어봉~신선봉~마패봉도 암릉 구간에 로프구간까지 있어서 악산의 묘미를 느낄 수 있었다. 코스상 주차장이 두 곳 있는데 고사리 주차장은 주차료가 2000원이고 연풍레포츠공원은 무료이다.
비가 안 온다는 일기예보를 확인하고 맑은 하늘아래 암릉구간 걱정없이 안심하고 출발했다.(만세~) 근데... 별로 복잡한 길도 아니었는데 뭔가에 홀린 것처럼 길을 1시간 넘게 헤매게 되었다. 미리 준비를 잘 했어야 했는데...후회를 하며 다소 힘빠진 상태로 읽기트렉을 시작했다.

연풍레포츠공원 가는길에 보이는 연어봉. 사진으로는 잘 안보이지만 실제로 보면 암릉이 상당히 많아서 출발할 때 긴장이 되었다.
연풍레포츠공원과 등산안내도
연어봉 올라가는 길 이정표와 등산로 입구

이정표를 따라서 등산로 입구를 향했는데 사람들이 잘 안다닌 것처럼 길에 풀이 자라있지만, 조금만 올라가다보면 길이 뚜렷해진다.

연어바위와 연어봉

얼마나 큰지 짐작이 안되는 큰 바위를 올라가면 연어를 닮은 연어바위가 나온다. 땡볕에 바위는 달궈지고 땀이 줄줄이었지만 시원한 바람이 불어서 응원해주는 듯 했다.

마패봉 가는 길 주변 풍경
저 앞의 암릉 다리(?)를 건너 신선봉으로 가야한다

이 코스에는 나무에 걸려있는 리본이 별로 없어서 등산로가 엄청 깔끔하다. 깔끔한 건 무척 좋았지만 암릉 위에는 길 자국이 남아있지 않아서 '길은 정면일까? 왼쪽일까? 오른쪽일까? 셋 다 아닌가?' 를 고민하게 되었다. 특히 수직암벽을 잠시 내려가야하는 지점을 만나서 왔다갔다하며 '정말 이 길이 맞나...' 하다가 암벽쪽으로 몸을 돌려서 내려갔다. 제일 난코스였지만 담력이 커진게 확실히 느껴진 구간이기도 하다.

길은 왼쪽일까? 오른쪽일까? 이번엔 오른쪽!

신선봉은 로프를 잡고 가파르게 올라가야한다. 험하긴 하지만 바위가 미끄럽지 않아서 괜찮다. 다만 가져간 물이 부족하게 느껴지면서 아껴 마시기 시작했다.

신선봉 정상석. 주변의 산들도 전부 암릉이 보인다
코스에서 오랜만에 리본이 보여서 찍은 사진과 마패봉 정상석
마패봉에서 내려오는 길의 이정표와 지도. 그리고 반가운 계단.

마패봉부터 길 분위기가 달라지는데 국립공원에서 관리 중인 코스인듯하다. 국립공원 지도도 보이고, 계단과 난간이 나와서 '와~이제는 좀 쉽겠다!'하는 반가운 마음에 마음이 가벼워졌다. 물을 아낄수록 계속 갈증이 느껴져서 남은 물은 비상용으로 넣어두기로 했다. 다음 트렉엔 물을 충분히 가져와야겠다.

문경새재의 옛 성터. 길에서 만난 큰 소나무.
동암문과 부봉 가는 길
부봉1봉

갈지 말지를 수십번 고민하다가 올라간 부봉1봉의 풍경은 고민한만큼 다른 곳보다 무척 특별했다. 아쉽게도 시간 때문에 부봉2봉~6봉은 포기하고 동암문으로 되돌아가서 동화원방향으로 하산했다. 내려갈수록 계곡의 물소리가 점점 커졌는데 참다가 못 참고 계곡물을 받아서 한 병을 다 마셔버렸다. 어찌나 시원하던지...
오랜만에 문경새재에 오니 반가웠다. 낙동강 발원지도 보고, 장원급제길을 지나서 3관문과 자연휴양림을 지나 고사리 주차장으로 돌아와서 트렉을 마무리 하였다.

오늘도 감사드립니다

 

'도전Trek 배재영님 > 202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척 미로 활기 치유의 숲  (0) 2022.08.01
왕피천 생태탐방로 1구간  (0) 2022.07.16
인제 방태산  (0) 2022.06.27
지리산 서북능선  (0) 2022.06.17
오대산 노인봉  (0) 2022.06.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