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일시 : 2022. 7. 9.(토) 07:30~17:10
O 날씨 : 하루 종일 흐림
O 코스 : 물한계곡주차장~각호산~민주지산~석기봉~삼도봉~물한계곡주차장
O 거리 : 약 17~18km
민주지산.
오른 건 처음입니다.
물한계곡에 오고 도마령을 넘은 적이 있어도 말입니다.
흔히 물한계곡과 민주지산은 늘 한 쌍으로 같이 불립니다.
여긴, 충북에서도 남쪽 맨 끝, 영동 상촌면 골짜기에 있죠.
시내버스로 찾던 예전엔 참 가기 힘든 곳이었습니다.
높이로는 충북에선 소백산 다음.
넓기로는 삼도에 걸쳐 있는 꽤나 큰 산.
그래서 조망과 계곡이 좋기로 이름난 산이죠.
오늘 아침 일기 예보론 33도 폭염.
정작 산 위에선 비 흩뿌리고, 하루 종일 곰탕 국물 같이 뿌옇네요.
그 덕에 더위는 피했지만, 눈맛을 못 봤네요.
능선 위에 서면 가장 좋은 건 눈맛인데요.
보이는 게 없으니 재미는 반감되네요.
7월 초 민주지산 능선엔 야생화가 줄지어 피어 있네요.
능선 눈 맛 못 보는 대신 꽃들에 눈 더 가고, 이름도 알게 되었네요.
각시원추리, 큰까치수염, 하늘나리, …
삼도봉에서 내려오는 물한계곡 숲은 원시림 같네요.
한여름엔 여기 숲길만 거닐어도 좋을 텐데요.
상수원 보호한다고 계곡 출입을 못 하게 해 놓았는데,
시원한 숲 안에 있으면 더위는 나몰라라 할 겁니다.
길게 한 바퀴 도니 17~18km.
아주 천천히 걷다보니 10시간 가까이 걸렸습니다.
1,200m 넘는 능선에서 보이는 산그리메들, 오늘은 못 봤는데요.
다른 계절 맑은 날에 한 번 더 오기로 콕~ 찍어둡니다.
주차장 앞에서 본 안내도.
B코스로 올라, 각호봉~민주지산~석기봉~삼도봉~삼마골재로 해서 A코스로 내려올 예정입니다.
조금 걸어가면, 물한계곡 석상이 보이고, 상수원보호구역 출입문이 보입니다.
들어와서 찍은 출입문인데요. 왼쪽 옆으로 들어왔구요.
출입하지 말라는 걸 어긴 게 찜찜했습니다만.. 마을 주민분들께 미안해할 행동은 없었습니다.
임도를 따라 올라갑니다.
사방댐 표지판에서 오른쪽으로 가면 됩니다. 왼쪽으로 가면 100여 m 오르다 건너가야 합니다.
여기 지나면서부터 경사 급해지구요. 돌길이네요.
갈림길. 왼쪽으로 가면 능선. 오른쪽은 각호산 정상.
오른쪽으로 곧장 올랐는데요. 경사가 아주 급해집니다.
숨가쁘게 오르는 길에 본 원추리.
저 위 하늘이 보여서 정상인가 싶으면 또 급경사 길이 이어집니다. 마치 3단 고음 같았습니다.
각호산 정상 갈림길.
힘들게 오르다보니, 게다가 곰탕 국물처럼 하늘이 뿌옇고 아무 것도 안 보여서..
각호산 정상이 여기서 100~200미터 옆에 있다는 걸 깜빡했네요. 물론 가봐도 정상석만 봤을 테지만요.
능선 타고 바로 내려갔네요.
야생화가 아주 흔하게 보이기 시작합니다.
큰까치수염, 하늘나리.
각호산 오르기 전 갈림길로 이어지는 곳이네요.
바로 옆에 놓인 두 표지판에 쓰인 거리가 다른데요. 이리저리 재보니까 새 표지판(아래)이 맞는 것 같아요.
아무 것도 보이지 않으니, 가까운 것들에 눈이 더 갑니다.
산에선 수많은 리본을 봅니다만, '비실이부부' 리본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게다가 아주 자주 보는데요. 가는 데마다 보이는 거 봐선, 참 대단한 부부입니다.
우거진 덤불을 헤치고 나가다보면, 대피소와 추모비가 나옵니다.
24년 전 4월 초 폭설로 인해 일어났던 안타까운 사고 현장인데요.
그 때 뉴스 보았던 기억.. 납니다. 그 이후로 민주지산 하면 이 기억이 먼저 떠오르곤 했습니다.
여기서 바로 위에 민주지산 정상(1241m)이 있습니다.
석기봉으로 이어지는 길.
커다란 바위에 붙어 핀 풀. 담쟁이 풀인지 이끼풀인지.. 모르겠습니다만.
석기봉 바로 아래 갈림길입니다. 희한한 산악회 이름이 보여서요. 별로 가입 안 하려고 할 것 같은 이름 ㅎㅎ
석기봉 바로 아래.
바위에 새겨진, 몸은 하나요, 머리는 셋인 불상입니다.
석기봉.
표지석엔 1200m라는데, 삼도봉 안내판에선 1242m라고 하네요. 민주지산(1241m)보다 더 높은.
여전히 하늘은 열리지 않네요. 온통 안개입니다.
삼도봉 가는 길.
꽃을 피운 이파리롤 보니 비비추 같은 모양인데요. 검색해도 못 찾겠네요.
삼도봉(1176m)입니다.
삼도(경북 김천, 전북 무조, 충북 영동)가 만나는 곳이자 갈리는 곳입니다.
이 탑의 3면에 3도 이름이 들어가 있는데요.
이 탑을 세운 건 1990년. 금릉군은 1995년에 김천시로 통합되었다고 하네요.
삼도봉에서 물한계곡까진 4km 이상.
내려가는 길은 잘 나 있네요.
삼마골재. 여기서 물한계곡으로 내려갑니다.
내려오는 길은 원시림이다보니 습하고 차가운 느낌이 들 정도입니다.
무덤골을 알리는 표지판이 보이네요. 한국전쟁 때 희생당한 이들이 많았던 곳이랍니다.
우리 땅 어느 산하인들 아픔 없는 곳 없을 텐데요. 산 높고 골 깊은 만큼 그 아픔 더 컸겠지요.
여기도 그 하나일겝니다.
중간중간 폭포도 보이구요. 산수국도 흔하게 보입니다.
'삼도봉명품숲'이라고 이름붙여 놓은 길은, 산책길로도 그만입니다.
다 내려오니, 황룡사로 이어지네요. 작은 절입니다.
산행기록입니다. (중간에 밧데리 방전으로, 다시 기록했습니다. 두 개를 합하면 됩니다.)
하여튼, 민주지산은 맑은 날 다시 한 번 오는 것으로 기약합니다.
'도전Trek 김만균님 > 202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봉산(덕구계곡~용소골~덕풍마을) (0) | 2022.08.08 |
---|---|
지리산(음정마을~벽소령~화개재~뱀사골) (0) | 2022.07.24 |
삼척활기 치유의 숲 (0) | 2022.07.03 |
태백에서 함백까지 (0) | 2022.07.03 |
소금강산 무릉계곡~노인봉 (0) | 2022.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