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렉일시: 2022.3.19.(토) 09:15~17:28
트렉코스: 바농오름~족은지그리~큰지그리~민오름~(장생이숲길)~절물오름~한라산둘레길8구간~샛개월이~(족은개월이)~(개월이오름)~한라산생태숲
트렉거리: 18.96km
트렉 후 제주에서 하루 더 묵을 예정이라 오후까지 일정이 어느정도 여유롭게 느껴지는 날이다.
하지만 새벽부터 비바람이 불어 계획보다 트렉시작을 늦춰 9시에 숙소에서 나와 돌문화공원으로 향했다.
공원의 차도를 가로질러 우회전 좌회전하면서 다양한 돌들의 형상을 감상하며 가다보면 바농오름 입구가 나온다.
경사도가 좀 있는 바농오름 정상은 산불지킴이 한 분이 계실 뿐 시야는 짙은 안개로 가려 있다.
2,3코스를 지나 족은지그리로 향한다.
내리막 끝자락은 임도와 양 옆으로 넓은 풀밭이다.
가시철망으로 울타리가 쳐진 족은지그리.
들머리 찾느라 긴 임도길을 한참가다 되돌아와 만난 작은 표지판을 보고 사잇길로 들어선다.
임도를 만났을 때 우측으로 좀 더 갔어야 했는데 눈에 띄지 않아 좌측으로 계속 헤멘 셈이다.
사유지인지.... 가로막혀 있는 쇠울타리를 넘어서 안개비 속을 뚫고 흐릿하게 보이는 지그리오름을 찾아간다.
발에 밟히는 잡목들이 헤치고 가다 보니 목책으로 만들어진 ㄹ자 통로가 나타난다.
아마도 말 전용인 것 같은데 지나고 보니 통제구간이란 표지판이 보인다.
그러고 보니 통제구간을 지나온 것 같다.
큰지그리오름에 오르고 정상에서 숨고르기 하며 샌드위치와 따뜻한 찻물로 비바람을 잠시 피했다.
다시 내려와 나가는 길로 나와서 민오름을 찾아 나선다.
출입금지란 팻말이 있어 다른 갈래길로 가다가 산길샘지도의 방향에서 벗어나 다시 출입금지를 무시하고 어수선한 숲으로 들어선다.
배설물이 널려있는 마방지.
여기가 민오름인가 살짝 헷갈릴 정도로 넓다.
날씨가 좋아서 말들이 있었다면 절대로 통과하지 못했을 것 같다.
간간이 나타나는 리본에 의지하여 거친 숲속을 헤매다 또다시 평원같은 마방지 안에 들어섰지만 출구가 보이지 않는다.
쇠울타리를 따라 가다 다행이 마을 사람을 만나 민오름입구를 물으니 울타리를 넘어오라 한다.
여기까지 오는데 서너번 이상 넘어온 네칸짜리 쇠울타리를 순식간에 넘어 마을을 빙돌아 주차장이 있는 민오름 입구로 ....
민오름 둘레길표지판을 보니 마을로 진입하기 전 삼나무숲에서 우측으로 올라갔으면 만나는 길이다.
여기처럼 표지판이 좀 있었더라면, 하지만 표지판 대신 직관으로 통과해야 하는 갈래길이 많다.
민오름의 처음부터 끝까지 이어지는 조릿대와 계단길.
중간에서 내려다보니 저아래 지나온 마방지들이 보인다.
민오름에서 사려니숲길로 간다.
유달리 뱀주의란 안내판이 눈에 들어오는길.
날이 따뜻해지면 만날 수도 있겠다.
사려니숲길은 도로와 가까운 산책로 같다.
숲속인 것 같은데 지나는 차가 가까이서 보인다.
데크길이 끝나면서 차도가 나타나고 그 길따라 조금만 가면 절물자연휴양림이 나온다.
삼나무가 울창한 숲길 정말 멋지다.
절물휴양림은 산책로부터 오름까지 골고루 잘 조성되어 있어서 다 돌아보고 11km길이의 장생이 숲길까지 연계하려면 하루가 꼬박 다 필요할 것 같다.
오늘 진행지로 들어가 있는 장생이 숲길은 통제되어 있고 모험을 하기엔 너무 길다.
중간에라도 휴양림으로 되돌아 올 수 있는 연결 된 길이 없다.
숲의 환경이 너무 좋아보여 그냥 패스하기엔 아쉬움이 많지만 어쩔 수 없이 다음 기회로 미뤄본다.
절물오름분화구.
주변을 한바퀴 돌고 싶지만 아직 갈길이 멀다 싶어 다시 내려온다.
이 숲길 어디쯤에선가 노루들이 길가 가까이에서 목적지 찾아 다니는 우리들을 바라보고 있었다.
사진촬영을 하려다 보니 우비로 감싼 둔한 동작에, 그새 숲으로 들어가버린다.
회색빛 몸에 하얀 엉덩이를 한 모습이 참 귀하게 느껴진다.
다시 갈래길이 많아 헷갈리면서 샛개오리로 간다.
샛개오리 정상이라 생각했던 리본표시의 작은 오름과 개오리오름.
개오리오름주봉을 찾아가야 하는데 들머리가 어디인지 알 수 없는 시간이다.
다행이 비는 멈췄지만 바람은 여전하고 잠깐의 휴식으로도 손이 시렵다.
지나는 분에게 개오리오름길을 물으니 이지역 주민인듯 알려는 주시는데 길이 분명치 않다고 한다.
알려준대로 한참을 지나왔는데 엉뚱한 곳으로 온 것 같다.
이미 오후 3시를 지나고 있고 흐린날이라 더 이상 찾아 헤매기는 무리인 것 같아 남은 한라생태숲을 가기로 한다.
발길이 떨어지지 않는 아쉬움과 미진함을 ......
개오리오름 주봉을 포기하고 한라생태숲을 지나 주차장으로 나왔다.
아쉽다!
비가 와서 아쉽고,
보이지 않아서 아쉽고,
찾지 못한 길이 있어 아쉽고,
오르지 못한 오름이 있어 아쉽고,
1박 2일이라서 아쉽고,
제주도라서 아쉬웠다.
역시 불안은 현실로 나타났다.
검색해보니 길이 명확하게 나온 곳이 없어서 불안했는데 역시나였다.
그런 와중에도 앞장서서 길을 찾는 도반님이 고맙고,
불안하면서도 서로 믿고 끝까지 함께 한 도반님들이 한없이 고마웠다.
아쉬움은 아쉬움이고,
역경을 함께 한 도반님들에 대한 믿음이 더 굳건해졌다.
길이 부정확해 혼자서는 도저히 엄두를 못내고 심심할 겨를이 없는 긴장된 하루였다.
그래도 나는 제주도에 다녀왔다.
'도전Trek 백인옥님 > 2022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진 공룡능선 (0) | 2022.04.15 |
---|---|
경주 토함산 (0) | 2022.04.06 |
계룡산 (0) | 2022.03.31 |
금오도 비렁길 (0) | 2022.03.15 |
바래봉: 바람에 밀리다 (0) | 2022.03.06 |